교내활동/Google Korea Campus Outreach

Google Korea Campus Outreach 참여

ramin0119 2024. 8. 19. 00:04
728x90

구글코리아 현직 중이신 SW엔지니어분들이 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과 소통하는 프로그램으로, 60주년 기념관 국제회의실에서 2024년 5월 17일(금) 14시~16시에 강연을 열어주셨었다. 강연과 질문 또한 받아주시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선착순 190명을 신청받아서 그런지 좌석이 많은 만큼 많은 사람이 몰렸었다.

이어 내가 강연을 들으면서 필기를 했던 내용을 적어보고자 한다.

1. 전자과 출신 SW 엔지니어님

LG에서 6년, 외국계 회사 2년, 현재 구글에서 OS 개발에 힘쓰시고 있으시다고 하셨다.

 

① 구글에서의 업무
: 글로벌 팀, 엄청 사람들과의 프로젝트를 하는 것이 주 업무이며, 대학생이니 git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셨음.

 

② 청강자들(=대학생)을 대상으로 가지면 좋을 기술들

1) OS 지식

2) SW 디자인 (자료구조, OOP 알고리즘)

3) 커뮤니케이션 능력 (영어면 더 좋음)

 

③ 추천

1) SW 서적들 (토끼책)

→ 아마 '개발자가 반드시 정복해야 할 객체지향과 디자인 패턴'이라는 책을 이야기하신 듯하다.

2) 혼자 다니는 해외여행 경험해 보기

 

2. 석사(Edge Cloud & IoT) 2년 출신 SW 엔지니어님

본인은 학점 밖에 가지지 않아 자기소개서에 쓸 내용이 없어 4학년에 멋쟁이 사자처럼에서 웹 개발 공부 및 해커톤 참여를 경험해 보았고, 이후 2년 동안 석사과정을 밟으셨다고 하셨다.

 

처음에는 멋쟁이사자처럼 대표님을 따라 스타트업에 오게 되었는데, 스타트업이라서 그런지 다양한 최신 기술 방향으로 개발하면서 공부하지만, senior 개발자 분이 없으시고, 불안정성이 있으며, 런칭까지 딜레이 되고 있었어서 나오게 되었음.

 

나오신 후, 삼성전자에서 멀티 윈도우 파트를 개발하는 일을 맡다가, 현재 구글에 재직 중이시라고 말씀하셨음.

→ 추가로 책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라는 책을 추천해 주셨고, 정리하자면 지식공유, 긍정적 공유(코드 오픈 자유로움), 칭찬, 능동적인 일터라고 말씀하셨습니다!

 

To. 대학생

뒤처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선택의 두려움으로 이어지고, 이것은 후회로 이어집니다.
"졸업 후 5년은 커리어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투자해라. 마음껏 도전해라"라는 말을 전해주고 싶습니다.

다양하게 도전해 보는 용기와 열린 자세를 가지고 나와 맞는 것을 찾아보세요!

 

 

3. 대학생 당시 앱 개발 및 배포 개인 프로젝트를 해보셨던 SW 엔지니어님

과거에는 네이버에서 앱 개발 분야를 맡고 계셨지만, 머신러닝 분야로 바꾸셨고 현재 구글에 재직 중이라고 말씀하셨음.

 

① 과거 앱 개발자로 했던 것들

: 주 업무로 앱 UI 및 비즈니스 로직을 개발하고, 이후 서비스 앱 개발

 

② 강연자 분이 구글에 들어오기 전의 고민들

  • 회사의 양질의 자료 습득 능력을 어떻게 향상할까?
  • 영어 의사소통을 어떻게 개선시킬까?
  • 수많은 문서, 이메일에서 정보를 놓치지 않는 방법?
  • 엔지니어로서 팀 이상의 범위에 영향을 끼치는 방법?
  • 효율적인 생활 패턴? (아침 미팅)

③ 커리어에 도움 되었던 것들
: 코테 준비는 무조건 기본

: 적극적인 학습, 경험, 네트워킹을 강조하셨음. 혼자 모든 것을 하려 하지 마라.

  • 개인 모바일 앱 개발 및 출시 → 전체적인 앱 프로세스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 머신러닝 공부를 위한 오프라인 커뮤니티 참여 → ML 지식을 효율적으로 습득하며 프로젝트를 통한 경험
  • On Device ML Study 운영 → 관련 도메인 실무자 분들을 알게 되었고, 실무에서만 아는 지식을 습득할 기회

 

현장 Q/A 일부 정리

 

① 아침 미팅은 언제?

A) 빠르면 7시 30분 ~ 9시

 

② 후임이 들어온다면, 가지고 있었으면 좋겠다는 스킬, 경험, 자세

A) 이견이 있으면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자세, 열린 대화, 자신의 의견을 당당히 말할 수 있는 능력

 

GPT 보급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A1) SW 엔지니어링, 전공지식 쌓기

A2) focus를 바꿔 그것을 어떻게 이용할지? 예를 들면 왜 이렇게, 왜 이런 답변이 나올 수밖에 없는지?

 

개인 프로젝트 vs 팀 프로젝트?

A) 각 장점이 있다고 생각하고, 만약 하나만 선택한다면 팀 프로젝트를 더 우선시 여길 것.

→ 개인 프로젝트는 페이스 조절/자율 공부, 팀 프로젝트는 협업 능력 향상에 이점이 있다고 생각

 

구글의 좋은 SW 문화?

A) 남의 코드에 간섭하는 문화가 좋다 하셨음. 오픈 코드 문화이며, 다른 팀의 코드를 contribute 하는 문화라고 말씀하심.

 

⑥ 신입에게 요구하는 역량

A) 논리적 사고 및 표현 능력 (자료구조 등)이 필요하다 하셨음.

예로 질문하면 왜 해당 코드에 Queue를 왜 사용했는지 질문했을 때, 논리적으로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셨음.

 

새로운 언어가 계속 등장해 변화가 너무 빠르다.

A) 안드로이드 자바는 kotlin으로 변화해가고 있고 c++은 rust로 변화해가고 있는데, 이 새로운 언어들이 나왔다고 바로 공부하지 말고 어떤 장점이 있는지를 먼저 공부하고 할 것.

728x90